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1.5℃
  • 흐림강릉 22.8℃
  • 서울 22.6℃
  • 대전 22.7℃
  • 대구 22.6℃
  • 울산 22.2℃
  • 광주 23.7℃
  • 부산 23.0℃
  • 흐림고창 23.7℃
  • 제주 26.0℃
  • 흐림강화 21.8℃
  • 흐림보은 22.2℃
  • 흐림금산 22.8℃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23.7℃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밀·콩 등 곡물수급 안정세…주요곡물 전년比 1.3% 증가

미국 농무부, 2024/2025년 세계 주요곡물 생산량 예상

브라질 홍수, 라니냐 등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밀, 콩 등 국제 곡물 수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농식품부는 미국 농무부에 의하면 2024/2025년 밀, 콩 등 세계 주요곡물 예상 생산량은 29억6700만톤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고 최근 밝혔다. 기말 재고량도 8억7000만톤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농식품부는 특히 브라질 홍수 발생 이후 콩 선물가격이 일시 상승하기도 했으나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이며 근래 다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수급도 안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농식품부는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업계의 주요 곡물 구매가 완료됐고 2023년 하반기 구입물량이 도입되며 하락세가 반영되고 있어 밀, 콩, 옥수수 수입가격도 하락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4월 3주차 수입가격은 밀(제분용)의 경우 톤당 336달러로 평년 대비 0.6%, 옥수수(사료용)는 257달러로 2.3% 각각 하락했다. 대두(채유용)는 582달러로 11.7% 오른 상황이다. 다만 2022년 9월 최고치였던 749달러 대비 큰 폭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업계와의 소통 강화, 전문가 협의체를 통해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적정 재고 확보로 국제곡물 가격 변동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안정적인 해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간 기업 대상 현지 해외 곡물 유통망 확보에 대한 저리융자(500억원 규모, 이율 1.5%) 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곡물 시장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위험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적정 재고물량 확보 및 안정적인 해외 공급망 구축을 통해 국제곡물 수급 위기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