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깃값이 추석 성수기를 지나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무더위로 돼지가 늦게 자라 출하가 지연됐기 때문이란 분석에서다. 정부는 돼지 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추석 성수기 돼지 출하비용을 1마리당 최대 1만원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지난 10일 제1차 양돈 수급조절협의회를 개최해 추석 전후 돼지고기 수급 상황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가격 안정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형우 팀장은 “무더위로 돼지가 늦게 자란 올해 7월을 제외하면 2022년 전반적인 도축량은 역대 최대치인 작년보다도 많았다”며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도 전년과 평년 대비 많았다”고 밝혔다. 다만 사료비 상승, 국제적 인플레이션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축산물의 수입단가 상승,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외식수요 증가에 따라 올해 5~6월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30%까지 상승하는 등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6월 하순 이후에는 전년 대비 5~10%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산 삼겹살 소매가격은 7월 하순 이후 전년 수준으로 안정됐다고 밝혔다. 추석이 있는 8~9월 전망에 대해서는 “돼지 사육마릿수 증가로 8~9월 돼지 도축마릿수 합계는 평년, 전년 대비 2.7~7.
국내산 삼겹살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국내산 삼겹살 소비자 가격은 1kg당 2만7570원으로 최근 가장 높은 가격이었던 지난달 17일 2만9480원에 비해 6.9% 내렸다. 삼겹살 가격은 지난달 27일을 기점으로 약 한 달간 매일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 같은 기간 2만6000원대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양돈농가들은 울상을 짓고 있다. 사료가격 급등으로 생산비가 크게 오른 상황에서 정부의 수입산 돼지고기 무관세 조치 등으로 소비가 위축되면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다. 한돈협회는 1kg당 돼지고기 생산비를 5000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반면 경락값은 5500~6000원대다. 돼지고기에 이어 수입산 소고기와 닭고기에도 0% 할당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라 축산업계는 한목소리로 정부 정책을 강력 비판하고 있다. 수입 증량으로 국내산 축산물 소비가 감소하면 가격이 하락하고 자급률도 폭락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올 3분기 주요 곡물의 수입 단가가 2분기보다 더 오를 전망이다. 7분기 연속 이어져 온 곡물 수입단가 상승세는 4분기에 꺾일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3일 공개한 ‘국제곡물 7월호’에 따르면 3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식용 184.8, 사료용 178.4로 2분기 보다 각각 13.4%, 12.5% 높아질 전망이다.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2015년 수준을 100으로 놓고 곡물 가격 수준을 비교한 수치다.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곡물가격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3~6월 구입 물량이 3분기에 국내로 도입되는 것을 상승 요인으로 분석했다. 곡물을 수입할 때는 통상 매매계약 후 3~6개월 후 대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3~6월 계약 가격을 3분기에 지불하게 되는데 최근 환율까지 상승하면서 지수가 높아지게 됐다.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2020년 4분기 이후 7분기 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단가를 품목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제분용 밀은 1톤당 453달러로 지난해 6월보다 42.0% 올랐다. 같은 기간 식용 옥수수와 채유용 콩, 사료용 밀, 옥수수의 수입단가는 각각 36.0%, 33.2%, 24.2%, 47.8% 상승했다. 다
지난해 선진한마을 상위 20% 농장 육성률은 98%, 1등급 이상 출현율은 77%로 매우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선진(총괄사장 이범권)은 양돈계열화 사업을 담당하는 선진한마을이 작년 한해 비육회원농가와 함께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이같이 우수한 성적을 이뤄냈다고 밝혔다. 선진한마을이 중점적으로 진행했던 정책은 바로, 비육 육성률 개선을 위한 자돈 품질개선이다. 국내 양돈농가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이 지목되고 있다. 바이러스의 환경 저항성이 높고 유전자 변이가 쉬운 만큼 농가의 철저한 주의가 요구되는 질병이다. 선진한마을은 회원농가의 PRRS를 예방하기 위해 백신접종은 물론, 자돈사 비우기 등을 진행했다. 이에 따른 결과로 선진한마을 모돈 회원농장의 PRRS 음성 및 안정화 비율은 약 80%에 달하고 있다. 고곡물가 시대에 지속 가능한 양돈 사업을 위해서는 비육돈 생산비를 결정짓는 사료요구율(FCR)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선진한마을은 환경개선사업을 진행했다. 돈사단열 보완, 권장급이기 설치 등 시설보완을 통해서 근본적인 사료효율을 개선시켰으며, 사료토출량 관리를 통해서 사료허실을 최소화했다.
정부가 돼지고기에 할당관세를 부여하고 사료 구매 자금을 지원하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물 가격 안정과 축산물 수입국 다변화를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이는 정부가 지난달말 발표한 민생안정대책의 후속 조치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며 지난해까지 평년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4월 중순 이후 평년대비 크게 오른 상태다. 농식품부는 코로나19 이후 재난지원금과 집밥 증가로 가정 수요가 지속되고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사료비까지 오르면서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외서는 2020년 9월 주요 돼지고기 수출국 중 하나인 독일이 ASF 발생으로 수출을 중단했고 세계 1위 수출국인 미국은 사료비 영향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올랐다. 국내 햄·소시지 가공용으로 많이 쓰이는 미국산 냉동 돼지고기 정육 가격이 오르면서 대체재인 국내산 원료육 사용이 늘었는데 재고가 소진되면서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에 농식품부는 하반기 돼지고기 5만t(톤)에 할당관세(0%)를 적용키로 했다. 가공용으로 쓰이는 냉동 돼지고기 정육 3만6000
6월에도 돼지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높은 수준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농업관측센터는 지난 8일 ‘축산관측(돼지)’ 보고서에서 6월 돼지 도매가격을 ㎏당 6000~6200원으로 예측했다. 작년 동월에는 ㎏당 5204원이었는데 이보다 15.3~19.1% 높은 수준이다. 평년(㎏당 5043원)과 비교하면 19.0~22.9% 상승한 가격이다. 농경연은 국제적인 돼지 공급과 국내 외식 증가 상황을 고려하면 이달뿐 아니라 올해 전반적으로 돼지 도매가격이 평년보다 비싼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에는 ㎏당 4722원, 평년 기준으로는 4374원이었는데 올해는 4900~5100원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농경연의 관측과 별개로, 올해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라 하반기 사룟값 인상이 예상되면서 돼지 도매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지난달 설명자료를 내고 하반기 사룟값 이상이 불가피해 보인다면서 “이에 하반기에는 돼지 생산비가 전년보다 10만원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내년에는 돼지농가 중 약 30%가 도산할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돼지고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자 정부
정부는 인도의 밀 수출 중단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밀 가격 변동이 우려된다면서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농식품부는 보도자료에서 인도의 밀 수출 중단 발표에 대해 “장기화할 경우 국제 밀 수급·가격에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업계, 전문가 등과 협력해 국제곡물 시장 점검을 지속하면서 단기 대책뿐 아니라 국내 자급률 제고, 해외 곡물 안정적 공급망 확보 등 중장기 대책을 적극 강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국제곡물 시장 불안에 대응해 지난 3월 사료·식품업체의 원료 구매자금 금리를 2.5~3.0%에서 2.0~2.5%로 인하했고, 지난달에는 사료곡물 대체 원료 할당 물량을 늘렸다. 또 국내 소비자, 자영업자, 축산농가 등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밀가루 가격안정을 위한 546억원을 반영했으며, 식품외식 종합자금 지원 규모도 확대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전 세계 밀 수출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과 국내 밀 재고 상황 등을 고려하면 국내 단기적인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인도는 유럽연합(EU),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밀 생산국이지만, 생산량을 주로
도축마릿수 90만40마리, 생산량 증가추세 사료비·육류 수입단가 상승 국내 영향 커 추경에 특별사료구매자금 지원 확대 검토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4월 국내산 돼지고기 공급량은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최근 가격 상승은 국내 공급 문제가 아닌 국제곡물가격 상승으로 인한 사료비 상승, 육류 수입단가 상승 등으로 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9일 농식품부와 축평원(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국내산 돼지 도축마릿수는 역대 최고 수준이었던 지난해보다 더 많았다. 올해 4월만 보면 전년 대비 도축마릿수는 소폭 감소했으나 이는 2022년 4월의 작업일수(주말,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21일)가 2021년 4월의 작업일수(22일)보다 하루 부족했기 때문이다. 한편 올해 5월 1일부터 18일까지의 국내산 돼지 도축마릿수는 90만40마리로 전년 동기 84만6864마리에 비해 6.3% 많아 국내 생산량은 증가추세이며, 역대 최고 수준이다. 또한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3월 1일 기준 생후 2개월 미만 자돈 마릿수는 350만2000마리로 평년 3월 1일 자돈 마릿수 350만8000마리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자돈이 특별히 감소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
국제곡물가격 상승 압박으로 한돈농가 30% 도산 위기 직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식 수요 크게 증가한 것이 주 요인=최근 언론에서는 삼겹살 가격의 상승에 관심이 높다. 삼겹살 1kg당 소비자 가격이 5월 17일 기준 2만8230원인데 이는 전년 동월동일 가격이 2만3648원이던 것과 비교해보면 약 19.4%(4582원/kg) 상승한 결과이다. 최근 삼겹살 가격상승의 주원인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해제로 인해 돼지고기에 대한 외식 수요가 단기간에 일시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방역패스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지면서 번화가 식당 등을 둘러보면 심야에도 인파가 북적이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을 보더라도 한식, 일식, 맥주전문점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매출액이 상승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연스레 돼지고기의 소비도 큰 폭으로 늘고 있으며, 육가공업체·도매시장 등에서도 돼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돼지 공급두수는 오히려 전년보다 증가…가축질병 영향 근거 없어=가축질병 영향으로 돼지공급이 줄어 고기가격이 오르는 것이 아니냐는 문의가 종종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으로 인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국내 배합사료와 축산물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 곡물시장 영향 분석’에 따르면 수입 곡물가격이 10% 오르면 △가공식품 3.4% △외식 소비자 물가 0.58% △배합사료 생산자물가 5.3% △축산물 소비자물가 2.94%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합사료 물가가 특히 급상승하는 이유는 사료용 밀의 경우 우크라이나 의존도가 높고, 식용으로 사용하는 가공용 옥수수는 미국 세르비아 등 다른 국가에서의 수입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곡물 국제가격은 수입곡물 가공업체들의 선도구매로 3~7개월 시차를 두고 수입단가에 전이되고, 이후 일정 정도 차이로 배합사료와 외식, 가공식품 물가에 전이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곡물은 배합사료 산업을 통해 1차 가공된 후 가공식품 소재나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 등으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수입곡물은 식품제조업과 축산업의 경제활동과 배합사료, 축산물 가공식품 외식 물가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료용 옥수수와 밀 대두박은 배합사료 주요 원재료로 사용되며 배합사료 물가와 축산물 물가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