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감염차단위해 야생멧돼지·사육돼지 관리 일원화 시급”

  • 등록 2020.10.26 12:04:00
크게보기

ASF 관련 주무부서 농식품부·지자체 환경부로 이원화

방역에 집중한 강력한 야생멧돼지 관리대책 필요

 

 

ASF 감염 차단을 위해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에 대한 관리 일원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환경보전보다는 방역에 집중해 강력한 야생멧돼지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현재 ASF 관련 주무부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환경부로 이원화돼 있는 상태다.
양돈농가에서 발생하는 ASF는 농식품부와 지자체 농정부서에서 담당하지만 야생멧돼지 폐사체에 대한 검사 등의 작업은 환경부와 해당 지자체 환경부서 소관이다.

 

이에 같은 검사 대상이더라도 야생멧돼지의 경우 환경부의 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서, 사육돼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검사를 맡게 되는 등 부처 간 대응이 제각각 이뤄지면서 일선에서는 혼선이 빚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강원도 동물방역과는 지난 12일 멧돼지 폐사체 수색, 겨울 번식기 전 대대적인 포획, 광역울타리 관리 등 멧돼지 방역관리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해당 업무가 모두 환경부 소관인 탓에 자율적인 대책을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ASF가 발생한 강원 화천군이 야생멧돼지 ASF 확진 사례의 40%에 달하는 진앙인 점, 첫 발생 양돈장 250m 떨어진 곳에서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발견됐던 점 등을 들어 야생멧돼지가 사육돼지에 전염병을 옮겨 확진된 사례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한돈협회도 최근 “ASF 퇴치를 원한다면 농가를 잡지말고 멧돼지를 잡으라”는 성명을 통해 “환경부는 자연보존과 환경보호만 하는 곳이 아니라 국민 전체와 산업과의 조화를 생각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종환 기자 pignews114@naver.com
Copyright @2020 한돈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주소: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49-2 오복빌딩 201호 | 전화번호 : 02-403-4562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다09802 | 등록일 : 2009-08-21 | 발행인 : 문종환/곽동신 | 편집인 : 한만성 Copyright ©2020 한돈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