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귀농가구 증가속…전남, 가구수 많지만 감소폭 커

  • 등록 2022.10.25 11:02:05
크게보기

농경연, 지난해  귀농 가구 수1858가구 늘어

 

지난해 귀농가구 증가 속에 전남지역은 가구수는 많지만 감소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2021년 전국 귀농 가구 수는 1만4358가구로 2020년(1만2500가구)보다 1858가구(14.9%) 증가했다. 
구성원 별로는 1인 귀농 가구 증가가 두드러졌고, 지역별 귀농 가구 수는 경북(18.9%), 전남(17.9%), 충남(12.5%), 경남(11.8%), 전북(10.5%) 순 등으로 많았다.


전년에 비해 경남(1.1%p), 경북(1.0%p), 충남(0.6%p)은 증가한 반면, 전남과 전북(10.5%)은 귀농 가구 수는 많았지만 전남(0.9%p)의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전북(0.5%p)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귀농한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1.38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감소했다.
전체 1만4358가구 중 1인 귀농 가구 비율은 74.5%로 전년대비 0.4%p 늘어나면서, 농촌에 홀로 거주하는 가구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분석됐다.


귀농 가구 중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 수는 258가구(1.8%)로 전년 대비 68가구 줄었다. 
주요 사육 가축은 한우(38.4%), 꿀벌(35.3%), 곤충류(9.3%), 닭(5.0%) 순으로 전년 대비 꿀벌, 곤충류 사육 농가 비율은 줄고, 닭 사육 농가 비율은 늘어났다.
귀농귀촌 목적지 특성 분석 결과에선 2021년 기준 귀농 상위권 시군들은 비수도권에 다수가 분포했다. 특히 전남, 경북 등 대표적 농업지역에 속한 시군에 귀농 유입이 우세한 경향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지난해 전체 귀농 가구원의 89.1%가 비수도권 지역으로 유입됐다”며 “비수도권 도농복합 시군이 각각 34%와 55%를 차지할 정도로 귀농인들에게 선호가 높았던 만큼 해당 지역 지자체들의 맞춤형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지 기자 pignews114@naver.com
Copyright @2020 한돈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주소: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49-2 오복빌딩 201호 | 전화번호 : 02-403-4562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55795 | 등록일 : 2025-01-24 | 발행인 : 문종환/곽동신 | 편집인 : 한만성 Copyright ©2020 라이브한돈뉴스. All rights reserved.